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면 교통비를 30%나 절약할 수 있다는 거, 알고 계셨나요?
저는 전혀 모르고 있다가 이번에 알게 되었습니다. 교통비를 자그마치 30%나 할인해준다니.. 뭔가 조건이 많겠지- 라고 의심부터 했는데 전혀 아니더라고요. 안 하는 사람이 손해. 안 하면 바보- 수준인 꿀카드!
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알뜰교통카드 - 할인 방식 / 마일리지 적립 조건 / 적립 금액
알뜰교통카드는 교통비를 월 최대 30% 할인해주는 국토교통부 사업입니다. 할인되는 방식은 이렇습니다.
<알뜰교통카드>로 나오는 신용/체크카드로 10% 할인 + 알뜰교통카드 앱으로 측정하는 마일리지로 최대 20% 캐쉬백 |
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를 타는 거리만큼을 마일리지로 적립해줍니다. 적립한 마일리지는 월 1회, 현금으로 통장에 입금 되죠.
단, 몇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. 내 생활 패턴과 맞는지 먼저 확인해보세요.
|
마일리지 적립 금액은 800m 이상 걷는다면, 교통요금 지출액에 따라 250원 - 최대 450원까지 나옵니다. (800미터가 안 되면, 거리에 비례하여 지급됨) 저소득층과 청년층은 좀 더 지원이 되고요.
특히 청년층 폭이 꽤 넓어서, 아직 34세 안 넘으신 직장인 분들은 교통비 아끼는데 꽤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.
2천원 미만 | 2천원 - 3천원 미만 | 3천원 이상 | |
일반 | 250원 | 350원 | 450원 |
저소득층 (기초생활수급자) | 500원 | 700원 | 900원 |
청년층 (19-34세) | 350원 | 500원 | 650원 |
알뜰교통카드 - 좀 더 쉬워진 할인받는 방법 (주민등록등본 필요없음)
알뜰교통카드로 교통비를 할인받기 위해서는 일단, <알뜰교통카드> 와 <알뜰교통카드 앱>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합니다.
순서는 카드 발급이 먼저! 카드가 없으면 앱에서 회원가입 진행이 안 되거든요.
카드를 받은 후, 앱에서 회원 가입을 진행합니다.
알뜰교통카드, 이제 주민등록등본 필요 없습니다!
요 알뜰교통카드 예산은 지자체에서 나온다고 하더라고요. 그래서 꼭 주소지 검증이 필요했는데, 이걸 주민등록등본을 확인하는 아주 구시대적인 방법으로 하다가.. 최근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. 이제 주민등록등본이 필요 없더라고요~!
저도 주민등록등본 필요한 줄 알고 미리 떼어놨었는데, 회원가입할 때 그냥 휴대폰 번호로 인증, 주소지 확인을 끝냈습니다.
알뜰교통카드, 이용구간 즐겨찾기 등록가능!
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은 앱에서 <출발>, <도착>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는다-는 것이었습니다. 이 부분도 2023년들어 업데이트가 되었습니다.
앱에서 자주 이용하는 구간을 즐겨찾기 등록해두면, 요 구간에서는 출발/도착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마일리지가 적립된다는 거죠. 출퇴근하는 집-회사 구간은 즐겨찾기 등록해두면 편할 것 같습니다. (저는 아직 불안해서?;; 늘 출발/도착 버튼을 누르고는 있습니다.)
알뜰교통카드, 마일리지 적립 금액은 3-8일 후 확인 가능
앱에서 마일리지 적립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, 요게 약간 헷갈립니다. 실시간이 아니거든요.
출발-도착 잘 찍었어도 '대중교통 이용내역 확인중' 이라고만 떠있거든요. 저도 처음엔 이게 잘 안 찍힌걸까 불안했는데, 확인해보니 교통데이터 연계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거라고 하더라고요. 그래서 대중교통 이용 후, 주말/공휴일 포함, 3-8일 후에 확인이 가능합니다.
알뜰교통카드 - 체크카드 추천. 혜택 최대로 받는 꿀팁
알뜰교통카드 만들 때, 처음부터 체크카드만 고려했습니다. 정말 딱, 교통카드 용도로만 쓸 생각이었거든요. 그런 관점에서 제가 선택한 카드는 하나카드 입니다.
✔️ 연회비 없음
✔️ 기타 다른 기능 없음 : 괜히 다른 혜택 있으면 그거 받겠다고 또 욕심부릴 것 같아 애초에 아무것도 없는 카드로 선택
✔️ 교통비 캐시백 한도가 가장 큼
하나카드의 경우 전월실적이 25만원 이상이면 최대 한도까지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이용금액의 15%, 교통비로 월 3만원 이상 사용 시 지급하고, 최대 5천원까지.
신한카드는 택시비까지 포함시켜준다는 메리트가 있긴 하지만, 하나카드와 같은 금액을 캐시백 받으려면 이 카드로 매월 50만원 이상씩 실적을 채워야 해서 부담스러워서 패스했습니다.
그리고 무엇보다도, 하나카드는
최초 카드 사용 등록 후 다음 월 말일까지는 전월 사용금액 25만원 미만 시에도 전월 카드 사용금액 25만원 기준으로 서비스 제공
이라고 하더라고요. 즉, 3월에 최초 등록을 했으면 3월 4월 두 달간 전월실적 채우지 않아도 일단 혜택을 최대로 받을 수 있다고 해서- 부담없이 시작하기 좋겠다 싶었습니다.
그리고, 여기서 나오는 혜택 최대로 받는 법!
사실, 아주 소소한 정도이긴 한데요, 알뜰교통카드앱과 체크카드(하나카드) 모두 가입/등록 첫 달에는 혜택을 줍니다.
체크카드(하나카드)는,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전월실적 없이도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고,
알뜰교통카드앱은, 등록 첫 달은 대중교통 이용횟수 무제한으로 마일리지를 지급해줍니다.
평시에는 44회 한도이고, 이건 왕복으로 치면 22일 주 5일 출근만 커버하는 정도죠. 저녁 약속이 있어서 어디 들렀다 가거나 주말에 외출할 경우엔 혜택을 못 받거든요. 그런데 첫 등록한 달은 대중교통 이용횟수 무제한!
3월이 빨간 날도 없이 출근하는 날이 많고, 주말에도 이런 저런 약속들이 잡혀있는 터라 3월부터 시작하기로 했습니다.
카드 발급까지 2-3일 정도가 소요되니, 2월 24일 금요일에 카드를 신청하고 딱 2월 28일에 카드 배달 연락을 받았는데 마침 외부에 있어서 받지 못 하고 3월 2일 출근하자마자 받아서 바로 앱 회원가입하고, 퇴근길에서부터 사용했습니다.
기본 출퇴근 20회 (왕복 40회), 치과 진료 (집-치과-회사, 2회), 주말 약속 4회 (왕복 8회). 이러면 총 50회까지 마일리지를 적립받을 수 있겠죠. ㅎㅎ 아주 큰 차이는 아니지만, 괜히 뿌듯해서요.
안 쓰면 손해인 게 확실한 알뜰교통카드. 3월 한 달간 이용하면서 얼마나 혜택을 봤는지도 나중에 업데이트 해볼게요. 그리고 7월엔 혜택이 더 좋아진다고 합니다.
월급 빼고 모든 게 오르는 시대, 교통비 알뜰하게 아껴서 우리 모두 치킨 사먹읍시다~!!
![](https://t1.daumcdn.net/keditor/emoticon/friends1/large/013.gif)
도움이 되셨다면 하트, 추가로 더 궁금한 게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!
'부업.재테크 > 소소한 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자동차세 연납신청 무이자할부 카드 혜택 (종합) (2) | 2025.01.16 |
---|---|
리클 이용후기 - 헌옷방문수거어플 리클이 유리한 경우 매입단가 장단점 (1) | 2025.01.03 |